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2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5개 조별 리그를 거쳐 각 조 1위 팀과 일부 조 2위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으며, 최종 라운드에서 이란이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최종 라운드에서 2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총 5라운드의 홈 앤 어웨이 토너먼트를 통해 튀니지가 최종 라운드에서 우승하여 197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대회이다.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는 197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멕시코에서 개최되었고, 멕시코가 우승하여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0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어 이스라엘이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권은 냉전 시대 정치적 갈등이 축구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남아있다. -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총 11개국이 참가하여 1차, 2차(2012년 OFC 네이션스컵 겸함), 3차 예선을 거쳐 최종 1위 팀이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4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1978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및 OFC) |
연도 | 1978년 |
참가 팀 수 | 21개 팀 |
참가 연맹 수 | 2개 |
최다 득점자 | 키스 넬슨 (7골) [[파일:New Zealand.svg|22x20px|alt=뉴질랜드|link=뉴질랜드]] |
이전 대회 | 1974년 |
다음 대회 | 1982년 |
2. 진행 방식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 '''1라운드''': 21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하였다. 각 조의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 '''1조''': 6개 팀이 싱가포르에서 단판 경기를 치렀다. 상위 2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라운드 진출팀을 결정했다.
- '''2조와 3조''': 4개 팀씩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우승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4조''': 4개 팀이 카타르에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조 우승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5조''': 3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조 우승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최종 라운드''': 1라운드를 통과한 5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1위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3. 1차 예선
1차 예선은 21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1조: 싱가포르에서 6개 팀이 경기를 치렀다. 상위 2개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라운드 진출팀을 결정했다. 홍콩이 싱가포르를 꺾고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2조, 3조: 4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우승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2조에서는 이란이, 3조에서는 쿠웨이트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4조: 4개 팀이 카타르에서 두 번씩 경기를 치렀다. 우승팀인 쿠웨이트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 5조: 3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우승팀인 오스트레일리아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3. 1. 1조
1조는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이 한 조였다. 원래 스리랑카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기권하였다.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style="text-align:left;"| | 6 | 4 | 2 | 2 | 0 | 9 | 5 | +4 |
2 | style="text-align:left;"| | 5 | 4 | 2 | 1 | 1 | 5 | 6 | −1 |
3 | style="text-align:left;"| | 4 | 4 | 1 | 2 | 1 | 7 | 6 | +1 |
4 | style="text-align:left;"| | 3 | 4 | 1 | 1 | 2 | 7 | 7 | 0 |
5 | style="text-align:left;"| | 2 | 4 | 1 | 0 | 3 | 8 | 12 | −4 |
— | style="text-align:left;"| | 기권 |
경기 결과, 홍콩과 싱가포르가 승점 6점으로 동률을 이루어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3. 1. 1. 플레이오프
1977년 3월 12일 국립 경기장(싱가포르)에서 열린 플레이오프에서 홍콩이 싱가포르를 1-0으로 꺾었다.[3]0 - 1 | ||
라우윙입 |
홍콩은 라우윙입의 득점에 힘입어 싱가포르를 꺾고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3]
3. 2. 2조
2조는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라크로 구성되었다. 이라크는 기권하였다.- 이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경기 결과
날짜 | 장소 | 홈 팀 | 점수 | 원정 팀 |
---|---|---|---|---|
1976년 11월 12일 | 제다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시리아 |
1976년 11월 26일 | 다마스쿠스 | 시리아 | 2 - 1 | 사우디아라비아 |
1977년 1월 7일 | 리야드 | 사우디아라비아 | 0 - 3 | 이란 |
1977년 1월 28일 | 다마스쿠스 | 시리아 | 0 - 1 | 이란 |
1977년 4월 6일 | 쉬라즈 | 이란 | 2 - 0[9] | 시리아 (몰수) |
1977년 4월 22일 | 쉬라즈 | 이란 | 2 - 0 | 사우디아라비아 |
3. 3. 3조
이란은 6경기에서 5승 1무를 기록하며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1] 이라크는 기권하였다.[1]
3. 4. 4조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는 기권하였다.순위 | 팀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
1 | style="text-align:left;"| | 8 | 4 | 4 | 0 | 0 | 13 | 1 | +12 |
2 | style="text-align:left;"| | 2 | 4 | 1 | 0 | 3 | 3 | 6 | -3 |
3 | style="text-align:left;"| | 2 | 4 | 1 | 0 | 3 | 3 | 12 | -9 |
'''쿠웨이트'''가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3. 5. 5조
순위 | 팀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width=20 | |
---|---|---|---|---|---|---|---|---|---|
1 | style="text-align:left;" | | 14 | 8 | 6 | 2 | 0 | 12 | 3 | +9 |
2 | style="text-align:left;" | | 10 | 8 | 3 | 4 | 1 | 12 | 8 | +4 |
3 | style="text-align:left;" | | 9 | 8 | 4 | 1 | 3 | 13 | 8 | +5 |
4 | style="text-align:left;" | | 7 | 8 | 3 | 1 | 4 | 11 | 8 | +3 |
5 | style="text-align:left;" | | 0 | 8 | 0 | 0 | 8 | 5 | 26 | -21 |
style="width:12em;" | | 이란 | 대한민국 | 쿠웨이트 | 오스트레일리아 | 홍콩 |
---|---|---|---|---|---|
이란 | 2 – 2 | 1 – 0[11] | 1 – 0 | 3 – 0 | |
대한민국 | 0 – 0[3] | 1 – 0[8] | 0 – 0[10] | 5 – 2 | |
쿠웨이트 | 1 – 2 | 2 – 2 | 1 – 0 | 4 – 0 | |
오스트레일리아 | 0 – 1[5] | 2 – 1[6] | 1 – 2[9] | 3 – 0[4] | |
홍콩 | 0 – 2[1] | 0 – 1[2] | 1 – 3[7] | 2 – 5 |
'''이란'''이 6승 2무(승점 14점)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4. 최종 예선
이란은 6승 2무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1] 대한민국은 3승 4무 1패로 2위를 기록하였으며, 쿠웨이트, 호주, 홍콩이 그 뒤를 이었다.
5. 한국 대표팀 경기 (2조, 최종 예선)
한국은 2조 예선에서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와 경기를 치렀고, 이라크는 기권하였다. 이란이 4전 전승으로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최종 예선에는 1조에서 뉴질랜드와 중화 타이베이를 꺾고 올라온 오스트레일리아가 진출했다.
5. 1. 2조 예선
순위 | 팀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width=20| |
---|---|---|---|---|---|---|---|---|---|
1 | style="text-align:left;"| | 8 | 4 | 4 | 0 | 0 | 8 | 0 | +8 |
2 | style="text-align:left;"| | 2 | 4 | 1 | 0 | 3 | 3 | 7 | -4 |
3 | style="text-align:left;"| | 2 | 4 | 1 | 0 | 3 | 2 | 6 | -4 |
4 | style="text-align:left;"| | 0 | 0 | 0 | 0 | 0 | 0 | 0 | 0 |
- 이라크는 기권하였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1][2][3][4][5][6]
- 1976년 11월 12일,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2-0 시리아 (알 파하드 22', 보 사에드 54')
- 1976년 11월 26일, 다마스쿠스: 시리아 2-1 사우디아라비아 (알 카트비 36', 코우리 82'; 가니 44')
- 1977년 1월 7일,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0-3 이란 (마즐루미 16', 78', 로샨 62')
- 1977년 1월 28일, 다마스쿠스: 시리아 0-1 이란 (파르빈 36')
- 1977년 4월 6일, 쉬라즈: 이란 2-0 시리아 (부전승)
- 1977년 4월 22일, 쉬라즈: 이란 2-0 사우디아라비아 (유세피 10', 샤리피 84')
'''이란'''은 4전 전승으로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5. 2. 최종 예선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참조
[1]
웹사이트
Israel left the AFC in 1974
http://www.uefa.com/[...]
[2]
문서
Japan played its "home" match against Israel away at Israel.
[3]
뉴스
North Korea Out Of World Soccer Cup Preliminaries
https://www.newspape[...]
The Wichita Eagle
2023-07-20
[4]
문서
Both matches between Australia and Taiwan were played on neutral ground.
[5]
문서
Both matches between Australia and Taiwan were played on neutral ground.
[6]
문서
Taiwan played its "home" match against New Zealand away instead.
[7]
웹사이트
Israel left the AFC in 1974
http://www.uefa.com/[...]
[8]
문서
日本はホームの試合をイスラエルで開催した。
[9]
문서
オーストラリアと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の対戦は2試合とも中立地の[[フィジー]]で開催された。
[10]
문서
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はホームの試合もニュージーランドで開催した。
[11]
문서
[[이리역 폭발 사고]]가 발생한 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